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Egypt >
홈구장: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최다 득점자:호삼 하산 68골
최다 출장자:아메드 하산 184경기
최고 성적:FIFA 월드컵 16강(193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7회 - 최다 우승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역대 최고의 선수:모하메드 살라
주장:에삼 엘하다리
1) 역대 베스트 11
All Time Best XI

골키퍼

에삼 엘하다리
포지션:GK
국적:이집트
신장:190cm
생년월일:1973년 1월 15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96년 ~ 2018년
A매치 159경기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두번 말할 것 없이 이집트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골키퍼로 불리는 사나이. 쫀쫀한 탄력과 점프력에서 나오는 안정적인 키핑으로 안정감이 장점이었던 그는,
이집트 리그의 최고 명문인 알 아흘리의 주전으로 15년 가까이 뛰면서 7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아프리카 챔스 우승을 이룩했으며 이집트 대표팀에서도 20년간 활약하면서 골문을 지킨 엘하다리의 활약에 조국 축구는 4차례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최정상에 자리에 섰습니다. 무려 4번의 네이션스컵 최우수 키퍼로 뽑히기도 했으며 2018년 월드컵에서는 후보였지만 45세의 나이로 역대 최고령 출장 기록을 갈아치우기도 했습니다.
라이트백

아메드 파티
포지션:RB
국적:이집트
신장:176cm
생년월일:1984년 11월 10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2002년 ~
A매치 135경기 3골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21세기 이집트 축구의 행진을 이끌어나갔던 자국의 간판 수비수 중 한명. 빼어난 체력으로 우측면을 틀어막으면서도 발군의 공격 가담력까지 갖춘 아메드 파티는 뛰어난 자기관리 능력으로 40세까지 프로 경력을 이어나간 것과 미드필더도 뛸 수 있던 패스 능력 또한 특별한 점이기도 합니다.
그는 주로 알 아흘리에서 뛰면서 10번의 리그 우승, 4번의 챔스 우승을 비롯한 수많은 우승을 이끌었으며 잉글랜드의 셰필드 유나이티드와 헐시티에서 뛴 이력도 있습니다. 국가대표로도 역사적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연패를 함께 했던 파티는 2018년 월드컵 본선 진출 당시에는 주장 완장을 차고 뛰기도 했습니다.
센터백

이브라힘 유세프
포지션:CB
국적:이집트
신장:184cm
생년월일:1959년 1월 1일
주요 클럽:자말렉 SC
국대 커리어
1976년 ~ 1986년
A매치 57경기 4골
이집트를 넘어 아프리카 축구 역사상 최고의 리베로라고 볼 수 있는 인물. 굴지의 패스 공급과 공격 전개 능력, 안정적인 수비 능력을 자랑했던 이브라힘 유세프,
그는 이집트 리그의 자말렉 소속으로만 활약하면서 전성기 기량을 뽐냈고 각 2차례의 이집트 리그, 이집트컵,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실현시켰습니다. 이집트 대표로도 10년간 피라미드를 수호했었던 그는 1985년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3위, 챔스 우승을 이끌던 84년에는 2위까지 오르는 저력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센터백

하니 람지
포지션:CB
국적:이집트
신장:186cm
생년월일:1969년 3월 10일
주요 클럽: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국대 커리어
1988년 ~ 2003년
A매치 123경기 3골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독일 분데스리가에서도 안꿇리는 기량을 보였던 이집트 국적의 명 센터백. 뛰어난 운동 능력을 바탕으로 한 수비는 흡사 피라미드를 지키는 스핑크스 같았으며 반면 뛰어난 발밑 능력을 보유해 본업인 중앙 수비수 뿐만 아니라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되어서도 뛰어난 활약을 했습니다.
하니 람지는 알아흘리에서 분데스행을 결심한 후, 베르더 브레멘과 카이저슬라우테른 소속으로 10년 넘게 대활약했고 특히 1994/95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서 브레멘 소속으로 준우승에 올랐습니다. 이집트 대표팀의 품에서는 6차례의 아프리카 대륙 대항전에 참가했으며 1992년과 2002년에는 베스트 일레븐 선정, 1998년에는 우승 트로피를 카이로로 가져오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레프트백

하니 무스타파
포지션:LB
국적:이집트
신장:??cm
생년월일:1947년 10월 27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69년 ~ 1974년
A매치 ??경기 ??골
197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197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알 아흘리와 이집트 축구의 1970년대 좌측면을 책임졌던 명 레프트백. 뛰어난 공수 밸런스와 막강한 체력을 겸비했었던 하니 무스타파는,
다른 이집트 레전드들과 마찬가지로 자국 최고의 강호인 알 아흘리 SC에서 뛰면서 3차례의 이집트 1부 리그 우승과 1965/66 시즌의 이집트 컵 우승을 실현시켰습니다. 무스타파는 이집트 국기를 가슴에 달고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9경기를 출전해 1970년과 1974년 3위를 달성한 바 있습니다.
수비형 미드필더

리파트 엘 파나길리
포지션:DM
국적:이집트
신장:178cm
생년월일:1936년 5월 1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57년 ~ 1966년
A매치 ??경기 ??골
195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5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집트 축구 역사에 남을 뛰어난 커리어를 쌓았던 자국의 전설적인 미드필더. 뛰어난 수비형 미드필더 내지 센터백이었던 그는 호루스의 눈과도 같은 넓은 시야, 훌륭한 경기 조율력과 정밀한 패싱력, 안정적인 수비력을 바탕으로 팀의 대들보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
자국의 명문, 알 아흘리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엘 파나길리는 7번의 이집트 1부 리그 우승과 5번의 이집트 컵 우승을 함께 했으며 또한 1950년대 중후반 ~ 60년대 초중반 이집트 축구의 에이스로서 1957년 열린 초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과 그 다음 대회까지 2연패라는 금자탑을 쌓았습니다. 그는 뛰어난 실력에 이탈리아의 여러 클럽으로부터 오퍼를 받았지만 이집트 축구 협회장의 만류에 이뤄지지는 못했습니다.
중앙 미드필더

아메드 하산
포지션:CM
국적:이집트
신장:175cm
생년월일:1975년 5월 2일
주요 클럽:RSC 안더레흐트
국대 커리어
1995년 ~ 2012년
A매치 184경기 33골
199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축구 역사상 4번째로 많은 국가대표 A매치 경기를 소화한 인물.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10년대 초중반까지 자국 축구를 받들며 장기이던 부드러운 플레이메이킹과 드리블, 정확한 킥능력으로 주로 공격형 미드필더와 우측 윙어로 뛰었던 선수였습니다.
아메드 하산은 다른 대부분의 이집트 레전드들과 다르게 유럽 리그에 진출해서도 성공했는데, 터키의 베식타시와 벨기에의 안데를레흐트에서도 주전으로 활약했하며 2006/07 시즌 리그 우승을 비롯해 총 4번의 메이저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이집트 대표팀에서도 어마무시한 출장수에 걸맞게 1998, 2000, 2008, 2010년 아프리카컵에서 우승컵을 품에 안았고 본인은 06년,10년 대회에서 MVP까지 수상해냈습니다.
중앙 미드필더

모하메드 아부트리카
포지션:CM
국적:이집트
신장:183cm
생년월일:1978년 11월 7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2001년 ~ 2013년
A매치 100경기 38골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집트의 지단'으로 불리우던 자국 최고의 선수 중 한명. 뛰어난 트릭 플레이와 드리블 기교, 아군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전진 패스 능력이 돋보이던 공격형 미드필더 아부트리카는,
알아흘리에서 최전성기를 맞으며 7번의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 우승, 2번의 이집트 컵 우승, 5번의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써내려갔으며 아프리카 올해의 팀만 4번 뽑히기도 했습니다. 파라오 군단을 이끌고 그는 2006년과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트로피를 들어올렸고 두번 모두 대회 올스타팀 선정, 특히 08 네이션스컵 결승에서는 MOM에 선정됨과 함께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로까지 뽑히는 커리어의 정상을 맛봤습니다.
공격형 미드필더

마무드 엘 카티브
포지션:AM
국적:이집트
신장:184cm
생년월일:1954년 10월 30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74년 ~ 1986년
A매치 54경기 24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모하메드 살라의 탄생 이전까지 북아프리카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축구선수로 떠받들어지던 인물. 그의 플레이스타일은 '트레콰르티스타','9.5번형 선수'라는 표현에 걸맞는 뛰어난 플레이메이킹, 강력한 슛팅력, 유연한 신체 능력 등으로 폭발적인 기량을 뽐낼 수 있었습니다.
알 아흘리 SC 소속으로 무려 10차례의 이집트 리그 우승과 5차례의 컵 우승, 2차례의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3차례의 CAF컵 위너스컵 우승, 이집트 국적 최초의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상 수상이라는 금자탑으로 팀을 명문으로 발돋움시켰고 이집트 대표팀에서도 3번의 네이션스컵 득점왕과 함께 길었던 암흑기의 윤회를 끊어낸 1986년 네이션스컵 우승을 견인한 엘 카티브였습니다.
스트라이커

모하메드 살라
포지션:ST
국적:이집트
신장:175cm
생년월일:1992년 6월 15일
주요 클럽:리버풀 FC
국대 커리어
2011년 ~
A매치 87경기 49골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명실상부한 이집트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이자 2010년대 중후반 ~ 2020년대 초반 리버풀의 전성기를 이끌어가고 있는 세계 최고의 선수 중 한명. '파라오' 모하메드 살라는 뛰어난 드리블 감각, 엄청난 스피드와 왼발킥을 지녔으며 클롭 감독의 리버풀로 넘어온 후, 플레이메이킹과 포스트플레이까지 가능한 완전체로 변모했습니다.
데뷔하자마자 PL 단일 시즌 득점을 32골로 갱신했던 그는 팀의 전성시대를 밀고나가며 2018/19 시즌의 챔피언스 리그 우승, 19/20 시즌의 염원하던 30년만의 리그 우승 등을 진두지휘했습니다. 그 외 2차례의 챔스 결승 진출을 더 이끈 그는 그 과정에서 PL 최초 6시즌 연속 개막전 득점, 챔스 역대 최단 시간 해트트릭, 3차례의 리그 득점왕과 PFA 올해의 팀, 2차례의 FWA와 PFA 올해의 선수상, 2022 발롱도르 5위 등 빛나는 개인 커리어를 써내려갔습니다. 살라의 국민 영웅적 면모는 2018년 28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 2019년과 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을 이끄는 등 국대에서도 이어졌습니다.
스트라이커

호삼 하산
포지션:ST
국적:이집트
신장:178cm
생년월일:1966년 8월 10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5년 ~ 2006년
A매치 176경기 68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9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집트를 넘어서 북아프리카 축구 역사상 최고의 스트라이커 중 한명. 호삼 하산은 신기의 슛팅 테크닉, 감각적인 라인 브레이킹, 뛰어난 위치선정으로 자신에게 찾아오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모두 골로 연결시킬 수 있는 대담한 강심장이었으며 발기술 또한 준수했던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이집트 리그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자말렉과 알 아흘리에서 모두 뛰며 종합 14번의 리그, 2번의 챔스 우승을 비롯한 어마무시한 커리어들을 획득했습니다. 21년간 국가대표로도 69골로 이집트 대표팀 최다 득점자, 10년 주기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3번이나 하는 등의 업적을 쌓은 바 있는 호삼 하산은 1998년 네이션스컵에서는 7골로 득점왕으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감독

하산 셰하타
포지션:MANAGER
국적:이집트
생년월일:1947년 6월 19일
국대 커리어
2004년 ~ 2011년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집트의 아프리카 최강국 자리를 공고한 자국 최고의 감독. 하산 셰하타는 1970년대 자국의 레전드 미드필더였으며 후에 부진하던 대표팀의 감독직에 앉아,
에삼 엘하다리, 아메드 하산, 모하메드 아부트리카, 호삼 하산 등의 자국의 역대급 선수들을 데리고 전성기를 달리면서 월드컵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가나를 꺾고 전무후무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연속 우승이라는 파천황을 이뤄 조국을 대륙 최정상 자리에 올려놓았습니다.
2) 서브 베스트 11
All Time Sub XI

골키퍼

아메드 쇼바이르
포지션:GK
국적:이집트
신장:180cm
생년월일:1960년 9월 28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4년 ~ 1996년
A매치 107경기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에삼 엘하다리 등장 이전까지 의심의 여지없이 이집트 최고로 불렸던 키퍼. 뛰어난 선방 능력으로 17년간 알 아흘리의 품에서만 활약했었던 원클럽맨 아메드 쇼바이르는,
7번의 이집트 리그 우승과 5번의 이집트 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1986/87 시즌에는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이뤘습니다. 더해서 1986년 네이션스컵 우승을 경험한 그는 1990년 월드컵 당시 지역예선을 52년 만에 뚫어내고 본선에 안착, 조별예선 3경기에서 단 2실점만 내주는 방어력을 자랑했음에도 아쉽게 조국은 2무 1패로 16강 도전에는 실패하고 말았지만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5위에까지 오르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라이트백

이브라힘 하산
포지션:RB
국적:이집트
신장:178cm
생년월일:1966년 8월 10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8년 ~ 2002년
A매치 131경기 14골
FIFA 아랍 컵 우승 1회
이집트 축구 역사상 최고의 우측면 수비수로 볼 수도 있는 인물. 자국 역대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불리는 호삼 하산과 쌍둥이로, 그 역시도 강철 체력과 뛰어난 수비력을 바탕으로 오른쪽 터치라인에서 엄청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었던 형제 못지 않은 클래스의 선수였습니다.
여러 팀들 돌아다녔지만 주로 이집트의 알 아흘리에서 전성기를 누렸고 커리어 종합 14번의 리그와 2번의 챔스 우승을 포함해 무려 36번의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경험을 했습니다. 또한 대표팀에서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우승에 실패했지만 56년만인 조국의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습니다.
센터백

아슈라프 카셈
포지션:CB
국적:이집트
신장:181cm
생년월일:1966년 7월 6일
주요 클럽:자말렉 SC
국대 커리어
1984년 ~ 1994년
A매치 74경기 3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80년대 중후반 ~ 90년대 초반 이집트 축구의 수비 아이콘. 지능적인 전진 플레이와 위력적인 커팅 등의 공수 밸런스는 선배였던 이브라힘 유세프의 바톤을 이어받기에 충분했었습니다.
아슈라프 카셈은 자말렉 SC에서 4번의 리그 우승과 3번의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유수의 영광을 거머쥐었으며 파라오 군단 하에서도 팀을 이끌어가며 1986년 네이션스컵 우승을 따냈습니다. 특히 마지막 키커로서 승부차기에서 승리를 이끌었던 그는 1992년과 93년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센터백

와엘 고마
포지션:CB
국적:이집트
신장:184cm
생년월일:1975년 8월 3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2001년 ~ 2013년
A매치 114경기 1골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1세기 이집트 축구 최고의 센터백. 강인해보이는 외모에서 드러나듯 터프한 태클, 완강한 1대1 마크, 뛰어난 신체 능력 등이 장점이었으며 와엘 고마의 이런 뛰어난 활약상은 자국 최고의 명문인 알 아흘리 SC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그팀 소속으로 그는 8번의 자국 리그 우승, 3번의 자국 컵 우승, 5번의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라는 어마무시한 커리어를 작성했으며 이집트 국가대표팀에서도 3년 연속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트로피를 들어올린 고마는 CAF 올해의 팀에도 4차례 이름을 올린 바 있습니다.
레프트백

라비 야신
포지션:LB
국적:이집트
신장:173cm
생년월일:1960년 9월 7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2년 ~ 1992년
A매치 109경기 2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A매치 100경기 출장을 돌파했던 20세기 이집트 축구의 레전드 풀백. 정력적인 활동량과 뛰어난 대인 수비를 최고로 내세우며 전성기를 누렸던 라비 야신은,
알 아흘리에서만 모든 선수 커리어를 보내면서 3번의 리그 우승, 2번의 컵 우승, 1987 시즌 아프리카 챔스 우승, 3번의 위너스컵 우승을 주도하였으며 국가대표팀의 품에서도 1986년 대회 올스타에 드는 활약으로 네이션스컵 우승, 1990년에는 56년만에 월드컵 본선 잔디를 밟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수비형 미드필더

모하메드 엘네니
포지션:DM
국적:이집트
신장:172cm
생년월일:1992년 7월 11일
주요 클럽:아스날 FC
국대 커리어
2011년 ~
A매치 103경기 8골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년대 중후반 ~ 20년대 초반 이집트 축구를 대표했던 미드필더. 한계를 모르는 체력과 활동량, 준수한 킥력과 패스 공급으로 마치 스핑크스처럼 팀을 지켜내는 역할을 하던 엘네니는,
스위스 바젤에서 4연속 리그 우승의 주역으로서 아스날 계약서에 사인한 그는 비록 후보 선수급에 그쳤지만 10년 가까이 거너스의 품에서 뛰면서 2016/17 시즌 FA컵 우승과 18/19 시즌 유로파 준우승에 기여하였습니다. 그럼에도 국가대표팀에서 엘네니는 중원의 독보적인 에이스였으며 특히 2021 네이션스컵에선 대회 베스트 11에 뽑혔습니다.
중앙 미드필더

살레 셀림
포지션:CM
국적:이집트
신장:??cm
생년월일:1930년 9월 11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50년 ~ 1962년
A매치 ??경기 ??골
195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6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리파트 엘 파나길리와 초창기 이집트 축구를 대표했던 선지자. 명민한 볼컨트롤과 감각적인 찬스 메이킹, 톡톡 튀는 드리블 능력으로 이집트 축구의 전성기를 불러온 인사이드 포워드이자 스타 플레이어이며,
알아흘리 소속으로 전성기를 누려 11차례와 8차례의 이집트 1부 리그, 이집트 컵 우승 타이틀을 자신의 이름 앞에 다는 명예를 얻었고 '파라오 군단' 이집트 국가대표팀의 품에서도 1959년 대회에서 우승, 196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이끄는 저력을 보였습니다.
중앙 미드필더

타헤르 아부자이드
포지션:CM
국적:이집트
신장:180cm
생년월일:1962년 4월 1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2년 ~ 1990년
A매치 57경기 13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80년대 이집트 축구의 아이콘.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왼발 킥 감각을 이용한 경기 조립 능력과 슛팅력으로 골과 어시에 모두 능했었던 인물입니다.
타헤르 아부자이드는 알 아흘리 SC 소속으로만 본인의 모든 프로 커리어를 보냈으며 무려 7차례의 이집트 리그, 8차례의 이집트 컵, 2차례의 아프리카 챔스 우승의 주역이 되었습니다. 이집트 국대에서도 그는 똑같이 미친듯이 활약하였고 1984 아프리카 대륙컵 득점왕, 86 아프리카 대륙컵 우승, 90 월드컵 본선 진출 등을 이룩하는 쾌거를 내질렀습니다.
공격형 미드필더

모하메드 바라카트
포지션:AM
국적:이집트
신장:172cm
생년월일:1976년 9월 7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2000년 ~ 2010년
A매치 70경기 9골
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00년대 이집트 축구를 빛냈던 사막의 '머큐리얼'. 주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및 라이트 윙어였지만 마치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처럼 뛰는 활동량과 뛰어난 침투 능력, 수비 가담이 뛰어났었던 바라카트였습니다.
이스마일리를 거쳐 알 아흘리 소속으로 전성기를 누린 그는 7번의 이집트 리그 우승, 2번의 이집트 컵 우승, 4번의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자신의 이름 앞에 달았습니다. 특히 2005 시즌 챔스 우승 당시에는 득점왕도 따냈고 이에 많은 언론들로부터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로까지 선정, 1년 뒤 네이션스컵에서도 그는 트로피를 얻었습니다.
스트라이커

하산 엘 샤즐리
포지션:ST
국적:이집트
신장:173cm
생년월일:1943년 11월 13일
주요 클럽:테르사나 SC
국대 커리어
1961년 ~ 1974년
A매치 52경기 49골
196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이집트 축구를 넘어 북아프리카 전체에 영향을 끼쳤던 전설적인 포워드. 주포지션은 최전방보다 살짝 내려온 세컨드 톱이었던 엘 샤즐리는 강력하면서도 창의적인 킥 테크닉을 구사하며 수많은 골을 넣은 선수입니다.
또한 그는 테르사나라는 비교적 약소 클럽으로 평가받는 테르사나의 유일한 이집트 1부 리그 우승, 2번의 이집트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본인은 이집트 1부 리그 득점왕 4회, 176골로 이집트 리그 역대 최다 득점 등의 기록을 쌓으며 파천황을 이뤘습니다. 더해서 파라오 군단의 아래 엘 샤즐리는 부진하던 조국을 1963년 네이션스컵에서 3위에 올려놓았으며 득점왕을 수상, 총 13골을 넣어 아프리카컵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이집트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스트라이커

알리 아보 그레샤
포지션:ST
국적:이집트
신장:??cm
생년월일:1947년 11월 29일
주요 클럽:이스마일리 SC
국대 커리어
1967년 ~ 1975년
A매치 33경기 16골
197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197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1970년대 이집트 축구를 대표하던 전설적인 자국 축구의 스트라이커. 뛰어난 공간 지각 능력을 위시한 침투, 동물적인 마무리가 빛났던 알리 아보 그레샤는,
알 아흘리와 자말렉 다음 가는 이집트 프로 리그의 명문 구단으로 평가받는 이스마일리의 레전드이며 14년의 모든 프로 인생을 이곳에 바쳤고 1966/67 시즌 이집트 리그 우승, 1969년에는 득점왕으로서 이집트 클럽 최초로 아프리카 챔스에서 트로피를 따내는 영광을 가져왔습니다. 1970년 처음으로 수상하기 시작한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3위에 선정된 그는 또한 대표팀에서도 2번의 네이션스컵 3위를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3) 리저브 7인
Reserve 7 Player


나데르 엘사이드
주 포지션:GK
국적:이집트
신장:184cm
생년월일:192년 12월 31일
주요 클럽:자말렉 SC
국대 커리어
1992년 ~ 2005년
A매치 110경기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아메드 쇼바이르, 에삼 엘하다리에 이어 이집트 최고봉으로 여겨지는 1990년대 북아프리카 축구 최고의 수문장. 작은 키였지만 공에 대한 동물적인 동체시력과 감각으로 공을 쳐냈으며 특히나 이런 엘사이드의 민첩성은 페널티킥에서 더욱 더 특화되어있기도 했습니다.
자말렉 소속으로 전성 시대를 구가하면서 각 2번의 리그 우승과 아프리카 챔스 우승을 제패했었던 그는 말년에 알아흘리에 가서도 2번의 챔스 우승을 더 경험, 전성기 시절에는 이집트 올해의 키퍼에 8연속으로 선정되는 절대존엄의 포스를 드러냈었으며 대표팀의 부름을 받아서도 2번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우수 키퍼에 선정, 1998년 대회에서는 챔피언의 자리에 앉은 바 있습니다.

아메드 엘모하마디
주 포지션:RB
국적:이집트
신장:185cm
생년월일:1987년 9월 9일
주요 클럽:헐 시티 AFC
국대 커리어
2007년 ~ 2019년
A매치 72경기 9골
200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모하메드 살라 이전 프리미어 리그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던 측면 자원. 라이트 윙어와 풀백을 모두 소화가 가능하며 빠른 스피드와 날카로운 크로스로 먹고 살았던 선수였습니다.
선덜랜드, 헐시티, 아스톤 빌라 등의 팀에서 인상 깊었고 전성기를 보냈던 클럽은 당연 헐시티였으며 타이거즈의 품에서 2012/13 시즌 챔피언십에서 승격으로 구단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 이후 다음 시즌 바로 FA컵 결승에 오르는 뛰어난 성적을 가져왔습니다. 또한 엘모하마디는 국대에서도 2연속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에 기여하며 이집트를 뜨겁게 달궜습니다.

하산 셰하타
주 포지션:AM
국적:이집트
신장:176cm
생년월일:1947년 6월 19일
주요 클럽:자말렉 SC
국대 커리어
1970년 ~ 1981년
A매치 52경기 14골
197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위
이집트 축구 역대 최고의 감독이자 1970년대 자국 최고의 선수이기도 한 인물. 뛰어난 패스 비거리, 마성의 슛팅과 탁월한 드리블 스킬을 가진 플레이메이커였던 셰하타는,
자말렉 SC에서 전성기를 보이며 1977/78 시즌 이집트 리그 우승과 3번의 이집트 컵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2번의 이집트 리그 득점왕, 쿠웨이트 리그로 이적해서는 득점왕을 3번이나 따냈을 정도로 득점력 역시 출중했던 선수였습니다. 이집트 유니폼을 입고선 1974 네이션스컵에서 아쉽게 3위에 그쳤지만 그는 뛰어난 활약으로 대회 최우수 미드필더, 프랑스 풋볼이 선정한 그 해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 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마그디 압델가니
주 포지션:AM
국적:이집트
신장:178cm
생년월일:1959년 7월 27일
주요 클럽:알 아흘리 SC
국대 커리어
1981년 ~ 1992년
A매치 50경기 5골
198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월드컵 본선 득점자. 미드필더 전지역의 포지션을 소화하는 단단한 신체와 마성의 볼컨트롤을 가졌었던 마그디 압델가니,
그는 여느 이집트 탑클래스 선수들이 으레 그러하듯 알 아흘리라는 메가 클럽에서 활약하였으며 7차례의 이집트 1부 리그 우승, 2차례의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우승, 3번의 위너스컵 우승을 포함해 17개의 트로피를 들어올렸습니다. 거기다 압델가니는 유럽으로 진출해 포르투갈 리그의 베이라마르 소속으로 구단 최고 리그 순위인 5위를 찍었던 업적도 남겼습니다.
1986 네이션스컵 우승을 이끈 그의 커리어 최고의 순간은 그래도 1990 월드컵이었으며 네덜란드와의 조별 예선에서 그는 PK를 통해 대표팀의 월드컵 마수걸이골을 넣은 바 있습니다.

하젬 에맘
주 포지션:AM
국적:이집트
신장:174cm
생년월일:1975년 4월 17일
주요 클럽:자말렉 SC
국대 커리어
1995년 ~ 2005년
A매치 87경기 15골
199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90년대 중후반 ~ 2000년대 초 이집트 축구의 부흥을 만든 아프리카 최고 수준의 공격형 미드필더. 절정의 탈압박과 화려한 테크닉을 이용한 볼운반에 장기를 드러냈었던 하젬 에맘,
그는 이집트 리그를 알 아흘리와 양분하는 자말렉에서 뛰면서 2번의 아프리카 챔스 우승을 비롯한 수많은 트로피를 따냈습니다. 이탈리아의 우디네세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아쉽게 실패로 끝난 에맘은 이집트 국가대표로는 10년간 87경기의 A매치에서 활약하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잡아내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최정상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메드 엘카스
주 포지션:RW
국적:이집트
신장:??cm
생년월일:1965년 7월 8일
주요 클럽:올림픽 클럽
국대 커리어
1987년 ~ 1997년
A매치 112경기 25골
1990년대 이집트 축구의 공격을 이끌었던 돌격 대장. 라이트 윙어부터 공격형 미드필더, 센터 포워드를 모두 뛸 수 있는 돌파력과 득점 감각을 가졌었던 아메드 엘카스,
그는 올림픽 클럽이라는 이집트의 중소 클럽에서 10년 넘게 활약하면서 팀의 에이스로 군림하며 3번의 리그 득점왕을 수상, 자말렉으로 이적해선 96년 아챔 우승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대표팀에서도 핵심 멤버로 발탁, 3번의 네이션스컵에서 연속으로 출장했고 특히 주장완장을 찼었던 1996년 대회에선 3골을 넣은 바 있습니다.

아드디바
주 포지션:ST
국적:이집트
신장:??cm
생년월일:1927년 11월 17일
주요 클럽:알 이티하드 알렉산드리아 클럽
국대 커리어
1948년 ~ 1957년
A매치 29경기 22골
195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57년대 이집트 축구 최초의 네이션스컵 우승을 이끌었던 주인공. 빠른 발을 이용한 침투와 빼어난 슛팅 능력으로 엄청난 골 기록을 보여줬었던 아드디바는,
알 이타하드 알렉산드리아 클럽이라는 팀에서 뛰면서 1948 시즌 이집트 컵 우승, 1948/49 시즌 이집트 리그 득점왕을 따냈습니다. 그는 파라오 군단의 품에서도 2번의 하계 올림픽에 나갔고 1957년 대륙컵에서 5골을 넣으며 득점왕, MVP로서 최초의 국제 대회 트로피를 조국에게 안긴 바 있습니다.
4) 아쉽게 들지 못한 선수들
Rest of the players
골키퍼/수비수
아델 헤칼
타벳 엘 바탈
모하메드 엘샤나위
압델 자히르 데사카
모하메드 에마라
알리 셰하타
미드필더
바다위 압델파타
압델마지드 돌미
야세르 라드완
무스타파 압두
호삼 갈리
공격수
모하메드 지단
모크타르 엘 테쉬
자말 압델하미드
아메드 호삼 미도
모하메드 디아브 알 아타르
'국가별 역대 베스트 11 > 아프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제리 축구 역대 베스트 11 (0) | 2025.04.04 |
---|---|
카메룬 축구 역대 베스트 11 (1) | 2024.09.25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역대 베스트 11 (1) | 2024.08.01 |
북아프리카 축구 역대 베스트 11 (0) | 2024.07.30 |
댓글